목록책리뷰 (13)
ssarivibebe

컴퓨터를 전공하지 않은 기획자라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있어 다소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. 이 책은 서비스 기획자로서 필요한 기초적인 IT 지식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. 이제 막 기획에 입문하려는 비전공자라면 꼭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. (물론 이 외에도 알아야 할 것은 많다.) IDE(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) 통합 개발 환경 Android Studio(안드), Xcode(애플), Eclipse(C/C++, 자바), PyCharm(파이썬) 등 프로그래밍 언어가 많아진 이유 다양한 사람들이 새로운 언어를 만들어냄 기존의 언어를 발전시키거나 새로운 언어를 만들어냄 컴퓨터 부품들 CPU(중앙처리장치): 컴퓨터 머리 HDD, SSD(기억장치): 컴퓨터 창고 RAM(메..

이전 리뷰에 이어 나머지 내용을 공유하려고 한다. 앞 부분에서는 기획과 디자인의 방법에 대해 중점을 두었다면, 뒷 부분에서는 심리 활용법, 브랜드와 윤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. 자동 시스템 vs 숙고 시스템 이탈률을 줄이기 위해 숙고 시스템 X, 자동 시스템 내 해결 가능해야 에너지 소모: 자동 시스템 < 숙고 시스템 ➔ 뇌가 기피함 인지적 구두쇠 고민하지 않아도 되는 부분을 자동 시스템이 처리하게 하는 것 선택지의 개수와 복잡성을 줄여야 ➔ 의사결정 시간 짧아짐 전문 용어 X,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사용자가 암기해야 할 부분은 최소화 불필요한 클릭 최소화 텍스트 필드에 다음 행동에 대한 힌트가 있어야 기술을 이용해 사용자 수고로움 덜기 콜드 스타트 문제 완벽히 빈 화면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할 수..

제품이나 서비스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PM, PO 경험을 한 사람이라면 팀 내에서 크고 작은 문제 상황을 겪어봤을 것이다. 이 책은 프로덕트 오너로서 프로덕트를 어떤 마음가짐과 태도로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해 잘 알려주고 있다. PO는 감정을 보이지 않는다 프로덕트 오너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책임을 지는 자리 PO의 언행에 영향을 받을 많은 사람들을 고려해야 감정과 직관에 치우치지 X ➔ 사실, 근거를 기반으로 최선의 결정을 내릴 책임 독재는 금물 CEO처럼 결단을 내리는 사람이라는 착각 일방적 통보 X ➔ 이유(명확한 사실, 데이터) + 설득 PO에게 주어진 권한은 전혀 없다 유사 과하게 미화된 스태프 저자세, 경청, 사실만 토대로 설득 거듭 ➔ 고독한 자리 책임 O, 권력 X PO는 지시할 수 없다..

서비스 기획을 하면서 디자이너와의 작업 경계선이 모호해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. 그럴 때마다 작업 분배와 방식이 확실하지 않아 어려웠는데 이 책에서는 기획자로서, 디자이너로서 고민하고 신경써야하는 부분들에 대해 잘 알려주고 있다. 특히 기획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주니어 기획자라면 많은 도움이 될 만한 내용들이 있기에 꼭 추천하고 싶다. 더불어 디자이너에게 디자인에 대한 피드백을 하기 전에 피드백을 미리 점검할 때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한다. 이번 글에서도 계속해서 주관적 입장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들, 명확하게 하고자 하는 것들을 기준으로 정리했기에 책의 모든 부분을 다루지 않은 점 유념바란다. 이번 글은 내용이 길어 두 개로 나누어 구성했다. UX 디자인 vs UI 디자인 UX: 사용자가 어떤 ..

최근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서 기획을 하던 중 서비스 기획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. 기획자는 나 혼자였기에 상의할 사람도 없고, 내게 기획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줄 사람도 없어 한계를 느꼈다. 이에 서비스 기획에 관한 책을 찾아보게 되었는데, 서비스 기획을 하는 사람이라면 거의 다 이 책을 접하고 읽는다는 것을 알게 되어 이 책을 읽게 되었다. 읽기만 한다면 내재화하는 과정을 거칠 수 없을 것 같아, 메모로 정리하고 다시 한 번 글로 정리하려고 한다. 중요하다고 생각한 것들, 생소하게 느껴진 개념들 등에 대해 개인적인 의견을 담아 정리한 것이기에 다소 주관적이고 러프하다는 점 참고 바란다. 전략 기획 vs 서비스 기획 전략 기획 비즈니스 모델 구축, 방향 제시, 정의, 이론 기반 ..